해당 항목 내용만 보는 방법:
1]아래에서 목차 번호 찾기
2]해당 번호/기호 우측 클릭
3]전체 화면이 안 보이면 좌우로 스크롤
제행무상(諸行無常): ‘이 세상 모든 것은 끊임없이 변한다’ (부처님)
영원한 것은 하나도 없고 모든 것이 변한다: 헤라클레이토스(그리스 철학자)
세상의 모든 것은 변합니다. 그런데 세상이 너무 빠르게 변하고 있습니다.
빠르게 바뀌는 어떠한 변화에도 적응할 수 있도록 준비된 자 만이 바뀐 세상의 주인공이 될 수 있습니다. 이젠 교육도 교육소비자인 학생의 미래를 걱정하는 교육이어야 합니다.
1] 시대가 변하고 있고, 인기직업도 변한다. 세상이 변해도, 기업의 임원과 대표는 꼭 필요하다.
안정적 직업 최상단에 있는, 기업 고위임원 및 대표이사에 우리는 주목합니다.
2] 좋은 자격증이 일류대 졸업장보다 더 인기
2030년쯤이면 학습과 학력인증의 경계가 흐려질 것이란 예측 하에서 ‘대학 졸업장과 자격증 경쟁시대가 도래’할 것이라는 점이다. 학점과 학위는 여전히 중요하겠지만, 대학 졸업장과 자격증명서가 서로 경쟁하게 될 것이다. 마이크로소프트, 구글, 페이스북 등의 기업이 수여하는 자격증이 직원을 채용할 때 대학 졸업장보다 더 인기를 끌고 있는 것이 단적인 예이다.
이상수 전 (사)광주연구소 이사장
3] 나중에 쓸모없을 지식을 지금 배우고 있을지도…
“2050년대 세상이 어떻게 달라질지 아무도 모른다. 우리 자녀 세대가 40대가 되었을 때 그들이 학교에서 배운 내용 중 80~90%는 쓸모없을 확률이 높다”
4]-1. 미래에 대비하여 배워야 할 역량, Skills
World Economy Forum(2015)에서 정리한 21세기 학생들이 배워야 할 16가지 Skills
미래에 대비하여 우리 학생들이 무엇을 배워야 하는지가 잘 정리된 자료임
출처: https://widgets.weforum.org/nve-2015/chapter1.html
위 내용을 잘 해설한 분(이상수 전 (사)광주연구소 이사장)이 있어서 아래에 인용했습니다.
4차 산업혁명 시대의 학생들을 위한 16가지 스킬
세계경제포럼은 메타 분석을 실시해 평생학습 체제로 가려면 21세기 초⋅중등교육에서 필요로 하는 16개 스킬들을 도출하여 제시하였다.
첫 번째, 일상에 적용을 위한 기초적 능력(Fundamental Literacy)으로 ①리터러시(Literacy), ②수학능력(Numeracy), ③과학적 능력(Scientific Literacy), ④정보통신 능력(ICT Literacy), ⑤금융적 능력(Financial Literacy), ⑥문화와 시민 리터러시(Culture and Civic Literacy)는 학생들이 보다 발전되고 동등한 수준으로 핵심역량과 성품들을 발전할 수 있는 기반들을 제공하는 스킬들이다. 일반적으로 문자 해독과 수학적 능력 등 기초적인 스킬뿐만 아니라 과학과 정보통신, 재무, 문화와 시민 리터러시 등도 포함되어 있다.
두 번째 핵심역량(Competencies)은 학생들이 복잡한 도전을 위해 필요한 능력들이다. 문제의 규명과, 상황의 분석과 평가, 문제 해결을 공식화하기 위한 아이디어와 정보를 제공할 수 있는 ⑦비판적 사고/문제해결능력(Critical Thinking, Problem Solving), 지식의 적용, 합성 혹은 용도 변경 등을 통해 문제를 인식하거나 해결하는 과정 등에 있어 혁신적인 새로운 방법들을 상상하고 고안할 수 있는 ⑧창의성(Creativity), ⑨의사소통(Communication)과 ⑩협력(Collaboration)은 다른 사람들에게 지식을 전달하거나 함께 문제를 해결하는 과정에서 매우 주요한 역할을 한다. 이와 같은 핵심역량들은 21세기 직장인들에게 필요한 매우 기본적인 역량들로 지식들을 비판적으로 평가하고 전달 할 수 있으며 팀 단위로 업무를 잘 수행할 수 있도록 하는 표준역량들이다.
셋째, 캐릭터 특성(Character Qualities)은 학생들이 변화하는 환경에 어떻게 접근하는지를 설명한다. 빠르게 변화하는 시장 상황에서 이러한 지속성과 적응성 등의 캐릭터 특성은 장애에 부딪혔을 때보다 탄력적으로 대응할 수 있게 된다. ⑪호기심(Curiosity)과 ⑫진취성(Initiative)은 새로운 콘셉트와 아이디어들을 발굴하기 위한 시작점이며, 문제해결을 위해 끈기 있게 처리하려는 ⑬지속성(Persistence), 환경에 적응하기 위한 ⑭적응성(Adaptability), 사회적⋅윤리적⋅문화적으로 다른 사람들과의 건설적인 상호작용을 제공할 수 있는 ⑮리더십(Leadership)과 ⑯사회, 문화 의식(Social and Culture Awareness) 능력이 갖추어져야 한다.
과학자들은 끊임없이 새로운 기술에 도전하고 기술은 끊임없이 발전한다. 로봇과 인공지능은 계속 인간을 닮아가고 있다. 이들과 인간이 어떻게 역할을 분담할지 코디네이션하고, 가치 있는 사용자 경험을 전달할 창의적인 인간 중심의 상호작용 시스템 설계를 고민하는 것이 새로운 직업을 찾고 만들어나가는 가장 효율적인 방법이다.
SNS는 정보 수집과 저장, 관련 의견을 나누며 재활용하기 위한 최적의 도구다. 생활과 기술을 통합하는 C-세대, O-세대에게 인터넷은 마치 공기와 같다. 이들의 경쟁력과 미래를 위해 SNS 등 스프레더블 미디어(Spreadable Media)의 활용 능력과 정보관리 능력은 매우 중요하다.
4]-2. NGL교육과 세계경제 포럼의 16 Skills
<NGL Prep Academy 설립위원회>의 교육과정과 World Economy Forum(2015)의 21세기 교육, 16 skills 연관도>
5] 기존 대안교육 기관들과 NGL비교
기존 학교 vs 대안학교 vs 비인가 대안교육 vs NGL Prep Academy
항목 | NGL CTC | 비인가 대안학교 | 인가 대안학교 | 기존학교 |
사용 명칭 | 훈련소(CEO Training Center)로 칭함 | 다양한 명칭 사용 | 대안학교 | 학교 |
교육 과정 | 전국 유일한 특별한 과정(CEO양성)으로 진행됨. 교육과정은 홈피의 별도 페이지 참고 | 운영자가 자율로 정함 | 대안학교의 설립 운영에 관한 규정
제9조(교육과정) 대안학교의 교육과정은 대안학교의 장이 학칙으로 정한다. 다만, 「초ㆍ중등교육법 시행령」 제43조에 따른 교과 중에서 국어 및 사회(중학교와 고등학교 과정의 사회 교과는 국사 또는 역사를 포함한다)를 교육부장관이 정한 교육과정상 수업시간 수의 100분의 50 이상을 운영하여야 한다. <개정 2013. 3. 23.> | 교육부가 정한 교육과정 |
학력 인증 | 중고등학력: 검정고시
대학학력: 바로 대학원 진학 희망생의 경우, 독학 학위제 활용 | 검정고시 | 대안학교의 설립 운영에 관한 규정 제6조(학력인정) 국ㆍ공립 대안학교를 졸업한 자와 제4조에 따라 설립인가를 받은 대안학교를 졸업한 자는 국ㆍ공립 대안학교의 설립 시 계획된 학교 급별 또는 사립 대안학교의 설립인가 시 표시된 인정학력에 따라 법 제2조의 초등학교ㆍ중학교 또는 고등학교 졸업 학력이 있는 것으로 본다. | 교육부 |
인가 | 비인가 | 비인가 | 인가 | 인가 |
인가 선택 및 협업 | 검정고시, 수능 등의 입시 교육은 유명 기숙학원과 협업함.
영어 심화 과정은 NGL의 직영 외국어 학원 및 온라인 과정을 통함.
기술 및 자격증 교육은 주변 교육기관들을 활용함 | 자율적인 학교 운영 목표를 유지하기 위하고, 설립에 관한 여러 규정들로부터 자유롭기 위해 비인가를 택하거나, 외국어학원 등의 허가로 운영함 | 인가를 받아서 교육부로부터 지원금과 학력인정을 받을 수 있으나, 교육부의 감시와 간섭을 받게 되어 자율적인 교육과정 편성에 지장이 갈 수 있기 때문에 차라리 비인가로 남아서 자치교육을 지켜나가는 경우도 있고, 몇몇 대안학교들은 인가를 받은 경우에도 종교적 특색을 지키기 위해 교육부의 지원을 거부하는 경우도 있음 | |
성격 | 평생학습 메니징 센터 | 학교 | 학교 | 학교 |
협업 | 협업>
교육기관들을 연결하여 학생 학습 및 훈련들을 도움 | 단독 | 단독 | 단독 |
교육 목표 | Global CEO 양성 훈련 | 학교의 설립목적에 따름 | 학교의 설립 목적에 따름 | 교육과정 이수 |
졸업 이후 | 바로 창업 또는 취업 후 경험을 쌓은 후 창업 | 학교의 교육목표에 따라 다름 | 학교의 교육목표에 따라 다름 | 진학, 또는 취업 |
학습 일수 | 연 200일 (기숙하기 때문에, 하루 12시간 공부/훈련)함. 정규학교 기준 연 300일 학습량임 | 학교가 정함 | 매 학년 180일 이상 | 매년 190일 이상 |
학교의 숫자 | 1개의 캠퍼스로 시작, 순차 지역 및 해외 캠퍼스 확대예정 | 약 300개 추정(2017년 기준) | 고등학교 과정만 약 60개 학교 (교육부 2022년 통계) | 2379개 고등학교 |
참고 강의1: 전문직도 사라질 수 있다.
참고강의 2: 돈버는 규칙 (’직’이 아닌 ‘업’, ‘원’이 아닌 ‘가’)
참고강의3: 능력보다 상황이 사람을 바꾸는 힘이 훨씬 크다
상담,길안내,SNS
3] 5단 교육 공식 Youtube
4]
지도:
5]
택배 보낼 때:
경기도 이천시 설성면 노성로 259번길, 39-17
6]
네비로 오실 때 추천:
* 도로명 주소네비가 가끔 실수하므로, 아래 2가지 방법 중 택1 권함.
1)지번 주소: 경기도 이천시 설성면 대죽리 산 241-1
2)이천 호국원 검색하여 오신 후, *이호건 200미터(이천 호국원정문 건너방향 200미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