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이나인 중고생 기숙캠프
캠프.독학/선함반 방학캠프

2] 2년 더 빨리 출세

2] 2년 더 빨리 사회 진출

2년 더 빨리 사회 진출, 또는 국내 10위권 이내의 유명대학의 대학원입학. 또는 세계 200위권 이내 대학의 대학원 입학

1> 2년 더 빨리 대졸 후 사회진출 왜?

대학을 졸업할 때까지의 총 16년의 교육연한이 국가적으로나 개인적으로 지나친 교육비 부담을 초래하고 사회진출의 지연현상을 초래하여 비경제적이고 비효율적이다. 학교교육 기간에 비하여 배우는 내용은 적은데 교육비 부담이 크다. 병역의무까지 마치고 노동시장에 나가기에는 너무 늦다. 직장 생활을 할 경우, 퇴직연령까지 고려하면 교육연한이 너무 길다 일반적으로 90세 기준으로 말하면, 30년 준비하여, 30년 일하고 30년 놀아야 한다. 학생들의 신체적 성장과 지적 발달상태가 과거보다 매우 빨라지고 있는데 이후 사용여부도 모르는 지식 교육을 위해 너무 길게 책상앞에 학생들을 묶어 두고 있다.
NGL CTC는 사회가 학교보다 더 효율적이고, 더 배울 것이 많은 곳이라고 믿는다. 그래서 우리 NGL CEO가 하루라도 빨리 사회에 진출하여야 한다고 생각한다. 우리는 교육기간을 최소2년(최대 5년) 줄이더라도, 50년간 행복한 CEO를 만들고싶다.

2> 이미 이 방법은 많은 사람들이 활용 중이다.

최연소 코스를 노리는 10대중고등학교를 모두 검정고시로 졸업하는 "검정고시 1년 + 독학사 1년" 코스를 밟으면 남들 중학교 3학년 나이일 때 이론적으로 대학원에 갈 수도 있다. 현재까지 알려진 케이스 중에서 만 19세에 법학전문대학원을 졸업하고 변호사가 된 사례가 있는데 당시 동갑인 사람들은 대학교 1학년이었다. 14살에 중, 고등학교 과정 검정고시에 합격하고, 16살에 독학학위제 영어영문학과를 합격한 후 19세에 서울대학교 교육대학원 영어교육과에 수석으로 입학한 사례도 있다. 2019년 5월 고시된 데이터에 따르면 2018년에 학위를 취득한 19세 이하 합격자수는 총 150명이다. 출처:https://namu.wiki/w/독학학위제 *이 표는 여러 페이지에서 반복됩니다.

3> 우리 젋은이들은 너무 많은 시간을 낭비하고 있다.

왜 초등학교는 6년제여야 할까. 중학교 과정을 꼭 3년 동안 배워야 하나. 고등학교를 2년 만에 졸업할 순 없을까’에 대한 고민은 없었다. *아래 기사 참고
진화 생물학자인 최재천(崔在天) 이화여대 석좌교수는 “뇌 세포 활동이 가장 왕성한 시기에 우리 아이들은 그저 쳇바퀴만 돌리고 있다”고 말한다. 6-3-3-4 학제가 학생들의 성장발달 단계에 적합하지 않고 그 기간도 너무 길다는 것이다. 그러니 청년들의 사회진출도 더뎌질 수밖에 없다. 사회진출이 늦어지면 자신의 꿈을 위해 도전할 기간도 줄어든다는 의미다.
“8년만에 대학 졸업이요? 흔해요”… 취업난에 쌓여가는 ‘졸업유예생’
졸업까지 76개월 걸리는 대학은?

4> 2년 단축하면, 2억원 이상 비용 절감 가능하다.

미국대학으로 진학할 경우, 시간을 2년 단축시키고, 최대 2억원 정도의 비용을 절감할 수 있습니다. 미국 일류 고등학교의 연간 학비와 미국 대학 2년간의 학비를 줄이면서도 유명한 미국대학으로 진학하는 방법은, 미국 대학 루트를 선택한 NGL에게 상세하게 제공되고, 대학을 졸업할 때까지 또는 대학원 입학때까지 우리 NGL이 훌륭한 CEO가 되도록, 필요한 서비스가 제공될 것입니다.

2년 빨리 끝내는 과정 예시

최대 5년 단축하여 대졸로 사회 진출 또는 대학원 입학하는 과정은 어렵지만 가능하긴 합니다. 학교에서 충분하게 시간을 두고 다니면서 졸업하는 것이 김치 숙성처럼 중요하다고 생각하시는 분은 NGL과 전혀 맞지 않습니다. NGL은 사회에서 많이 배우는 것이 학교에서 많이배우는 것보다 더 중요하다고 생각하는, 이론적인 공부도 중요하지만 학교 교육내용과 실생활과 연계된 교육을 빨리 제대로 끝내고 사회에 나와, 기업가가 되기를 원하는 교육 소비자들을 위한 과정입니다.
*이 표는 여러 페이지에서 반복됩니다.
<세계 200위권 대학의 대학원 입학 목표>

5> 독학사를 통한 대학원 진학도 하나의 지름길이다.

독학학위를 통한 일류대학 대학원 진학

2년 이내에 학사 학위를 확보하게 하여 2년을 절약시켜 드립니다.
독학학위제는 검정고시로 고졸 학력을 확보하는 것과 유사한 것으로 국가평생교육진흥원이 관리하는, 시험을 통한 학사 학위 확보 제도입니다. 즉 대학학위 검정고시로 보면 됩니다. 일류대학의 대학원으로 최종 학벌을 완성하려는 학생들에게는 이 트랙을 가장 추천합니다.
최연소 코스를 노리는 10대중고등학교를 모두 검정고시로 졸업하는 "검정고시 1년 + 독학사 1년" 코스를 밟으면 남들 중학교 3학년 나이일 때 이론적으로 대학원에 갈 수도 있다. 현재까지 알려진 케이스 중에서 만 19세에 법학전문대학원을 졸업하고 변호사가 된 사례가 있는데 당시 동갑인 사람들은 대학교 1학년이었다. 14살에 중, 고등학교 과정 검정고시에 합격하고, 16살에 독학학위제 영어영문학과를 합격한 후 19세에 서울대학교 교육대학원 영어교육과에 수석으로 입학한 사례도 있다. 2019년 5월 고시된 데이터에 따르면 2018년에 학위를 취득한 19세 이하 합격자수는 총 150명이다. 출처:https://namu.wiki/w/독학학위제

6> 고졸 이후 순서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