싱가포르 교육부
핀란드 교육부
길위의 학교
<싱가포르 교육개혁의 3가지 방향>
첫째, 시대 변화에 발맞추어 나가는 교육의 구조
(designing a responsive education structure)
두 번째 전략은 학습자 중심의 학교 환경을 조성함.
이를 위해 학교에 자율성을 부과하여
학생들의 요구와 교사들의 전문성에 기반을 둔 교육을 실행해 나가도록 하고,
학교의 리더십을 통해 학습자 중심 학교 환경 조성을 위한 다방면적 접근,
멘토링, 해외 연수, 국내 연수 등을 실시하며 지역사회의 참여를 유도한다.
또한, IT 관련 시설을 포함한 학교 시설의 정비를 위하여 학교 재정비함
세 번째 전략은 교육과정을 통해 가치(values)와 사고하는 역량을 길러주는 것
<싱가포르 교육 키워드 1,2,3>
학생 중심 교육:
Teach less, Learn more.
협동학습(cooperative learning)을 하나의 대안으로 제시하여 학생들이 협동학습을 통해 자신들의 지식과 학습에 관해 토론하고, 전통적인
교수자의 강의 위주의 수업에서 덜 가르치고, 더 학습하는 수업으로 이동
실용적인 기술교육
능력에 따라 다양한 교육 기회를 제공함. 싱가포르 중학교 졸업생의 약 60%가 중학교 기술반(4년 과정) 졸업생들에게 취업 교육을 시키는 싱가포르 기술교육원(ITE)과기술전문학교(폴리테크닉)로 진학함. “싱가포르 남자의 절반은 엔지니어”란 말이 나온 이유임.
학교, 교사도 경쟁
교사들도 업적에 따라 인센티브를 받음.매년 3월에 받는 성과급 보너스는 전년도 실적에 따라 월급의 100%까지 달라짐. 평교사보다 젊은 교장·교감이 수두룩할 정도로 평가 결과에 따라 진급도 큰 차이가 남. 학생, 교사, 교장 모두가 학생을 위한 선의의 경쟁을 함.
그 외 키워드: 다중언어 교육(영어, 중국어, 말레이어, 타밀어), 경쟁결과의 투명한 정보 공개
Singapore 교육정책을 말하는 이유
저희는 저희가 기획한 교육이 정말 우리 한국 학생들의 미래에 도움이 될거라 생각합니다만, 모두가 오직 한 목표(학교와 학원 →일류대학 → 취업)로만 달려가는 사람들에게 새로운 길이 있음을 이야기 했을 때, 아무도 우리를 주목하지 않을까봐 걱정했습니다.
그래서, 이 길은 이미 싱가포르가 결과(학생 주도 학습, 남자의 반은 엔지니어, 한국 2배의 국민 소득, 전세계 1위를 놓치지 않은 PISA학력지수)를 통해 보여준 교육제도의 아이디어들 중 일부를 따라 하는 것임을 알려서,
우리 학생들에게 NGL.CEO Training Center가 보여주는 또 하나의 길이 허황되거나 너무 새로운 것은 아님을 말하고 싶습니다.
(*참고1)한국 학력은 계속 하락, 싱가포르는 계속 1위
PISA(Programme for International Student Assessment) 2015의 결과가 발표되었다.
전체 참여국 72개국(OECD 회원국 35개국, 비회원국 37개국) 중에서
우리나라는 읽기 3~8위, 수학 1~4위, 과학 5~8위로 상위권을 유지하였으나
PISA 2012를 비롯하여 이전의 PISA 결과보다는 비교적 저조한 성적을 보였다(교육부, 2016).
한편 싱가포르는 PISA 2015에서 읽기, 과학, 수학에서 모두 1위의 성적을 거둬
(OECD, 2016) 순위가 하락한 우리나라와는 다소 대조적인 결과를 보였다.
출처:2017 싱가포르 교육과정의 특징과 한국에 주는 시사점, 백 선 희 경인교육대학교
<싱가포르 교육과정의 특징과 한국에 주는 시사점> 더 보시려면 아래 파일 다운로드
기타 참고한 학교와 캠프>
1> 3년간 10개국 여행하면서 하버드 입학도 시키는 학교
2> 전세계 고등학생들에게 Business를 가르치는 미국 일류대학 방학캠프
3> 핀란드의 학생 개개인이 미래에 더 나은 삶을 갖게하는 교육목표
우리 나라 학교에서 가르치지 않은 교육: 어떻게 해야 잘 살 수 있을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