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이나인 중고생 기숙캠프
캠프.독학/선함반 방학캠프

왜 싱가포르식 CEO 양성?

Singapore 교육정책을 말하는 이유 저희는 저희가 기획한 교육이 정말 우리 한국 학생들의 미래에 도움이 될거라 생각합니다만, 모두가 오직 한 목표(학교와 학원 →일류대학 → 취업)로만 달려가는 사람들에게 새로운 길이 있음을 이야기 했을 때, 아무도 우리를 주목하지 않을까봐 걱정했습니다. 그래서, 이 길은 이미 싱가포르가 결과(학생 주도 학습, 남자의 반은 엔지니어, 한국 2배의 국민 소득, 전세계 1위를 놓치지 않은 PISA학력지수)를 통해 보여준 교육제도의 아이디어들 중 일부를 따라 하는 것임을 알려서, 우리 학생들에게 NGL.CEO Training Center가 보여주는 또 하나의 길이 허황되거나 너무 새로운 것은 아님을 말하고 싶습니다.

(*참고1)한국 학력은 계속 하락, 싱가포르는 계속 1위

PISA(Programme for International Student Assessment) 2015의 결과가 발표되었다. 전체 참여국 72개국(OECD 회원국 35개국, 비회원국 37개국) 중에서 우리나라는 읽기 3~8위, 수학 1~4위, 과학 5~8위로 상위권을 유지하였으나 PISA 2012를 비롯하여 이전의 PISA 결과보다는 비교적 저조한 성적을 보였다(교육부, 2016).
한편 싱가포르는 PISA 2015에서 읽기, 과학, 수학에서 모두 1위의 성적을 거둬 (OECD, 2016) 순위가 하락한 우리나라와는 다소 대조적인 결과를 보였다.
출처:2017 싱가포르 교육과정의 특징과 한국에 주는 시사점, 백 선 희 경인교육대학교
<싱가포르 교육과정의 특징과 한국에 주는 시사점> 더 보시려면 아래 파일 다운로드
2017 국내외현안보고(인포메이션 1호) (2).pdf
2630.7KB